-
메리미커의 인터넷 트렌드 2015가 던진 몇 가지 화두들IT's Fun 2015. 6. 1. 09:04728x90
매년 발표되는 메리미커(Mary Meeker)의 인터넷 트렌드 리포트는 많은 사람들에게 인터넷의 변화와 업계의 동향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리포트가 발표되었고 많은 분들이 리포트를 공유하고 문서의 내용들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모습이 메리미커와 그의 리포트가 가진 영향력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200장이 넘는 장표이기 때문에 하나하나 다 내것으로 만들고 이해하려 들기 보다는 가볍에 넘어가면서 관심있는 분야의 동향을 살펴보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지난 주말동안 시간 날때마다 짬짬히 문서를 통독을 했고 그 중에서 개인적으로 방점을 찍고 싶은 시사점들이 담긴 장표들을 한번 모아봤습니다. (전체 인터넷 트렌드 2015 리포트는 슬라이드쉐어에 공개된 자료를 이용하면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손쉽게 문서를 읽어볼 수 있습니다) 현재 하고 있는 일과 관계된 메세징 업계의 이야기와 얼마전 충남대학교 특강에서도 소개했던 동영상 관련한 이야기들이 역시 눈에 확 들어옵니다.
인터넷에 월드와이드웹(WWW)이 폭발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던 1990년대 중반에 존재했던 인터넷 기반 기업들은 대부분 역사속으로 사라졌습니다. 시장에서의 기업 가치를 기준으로 할 때 그런 현상은 더더욱 두드러 지는데요, 애플을 제외하고는 상위 15개의 기업이 모두 새로운 기업으로 교체되었습니다. 중국 기업들의 약진이 눈에 띄지만 여전히 미국 중심의 기업들이 인터넷 업계를 이끌고 있다는 것이 눈에 들어옵니다. 기업들의 가치가 20년전과 대비할 때 엄청난 성장을 한 것도 눈에 띕니다.
메신저 분야에서 "본의 아니게" 엄청난 사용자수를 확보하고 있는 곳이 바로 중국 텐센트의 위챗(WeChat)입니다. 중국의 내수 사용자 수에서 오는 규모는 물론이고 중국어를 사용하는 범 중화권에서 엄청난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데요, 위챗을 통한 동영상의 공유와 이를 통한 감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입니다. 사람들이 뉴스 사이트나 서비스를 통해서 소비하는 동영상 컨텐츠보다 메신저를 통해 소비하는 동영상이 훨씬 많다는 점은 기억해둘만 하겠습니다.
작년부터 본격화된 중국 인터넷 업계의 거센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주요한 미국발 인터넷 서비스들은 인도(India)를 중요한 격전장으로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페이스북, 링크드인, 와츠앱, 트위터, 유뷰브, 그리고 아마존에 이르기까지 인도는 이들 서비스의 주요 타겟이 될 수 밖에 없는 사용자 규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인도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이야기들이 많지만 중국 이후 다시 한 번 큰 게임 변화를 가져올 곳이 인도라는 의견은 다시 점점 많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앞서 봤던 기업 가치 장표를 20위 까지로 확대해보니 한국의 네이버가 드디어 등장합니다. 소프트뱅크가 소유하고 있는 야후 재팬도 야후 본 서비스와 별도로 16위에 랭크가 되어 있는데요, 이들 두 서비스는 상위 20위권의 기업들을 매출 기준으로 다시 정렬해 봤을때 저평가 되어 있다는 분석이 가능해 보입니다. 저평가의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아무래도 사용자 기반이 지엽적이라는 것이 문제일 것 같습니다. 네이버가 라인으로 다시 한 번 도약하기 위한 과정을 거치고 있는 만큼 내년 리포트에서는 더 좋은 결과를 볼 수 있길 기대해 봅니다!
2015/05/29 - 라인 뮤직(LINE Music), 아시아 음원 스트리밍 시장에 도전장을 던지다
2015/05/28 - 무료 문서 스캔 어플 오피스 렌즈(Office Lens), 안드로이드 버전 출시
2015/05/26 - 플립보드(Flipboard), 트위터(Twitter)와 주식교환 방식의 1조 인수설 루머
2015/05/21 - 말레이시아 항공, 항공권 특가 판매를 통해 싱가폴 왕복항공권을 40만원에!
2015/05/20 -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 믹스라디오(MixRadio), 애플과 안드로이드 기기로 서비스 확대
2015/05/10 - 호텔스닷컴 5월 할인코드로 10% 저렴하게 호텔 예약하기
2015/05/20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 믹스라디오(MixRadio), 애플과 안드로이드 기기로 서비스 확대
728x90